https://www.koreadaily.com/article/20240618202957358
양민 박사 팟캐스트 출연
‘양용 사건’ 미숙한 대처 지적
진행자도 “교육 필요성” 강조

아들을 허망하게 떠나보낸지 한 달여가 지났다.
양민 박사가 중앙일보가 진행하는 영문 팟캐스트 ‘올 라이즈(All Rise)’에 출연했다. 양 박사는 LA경찰국(LAPD) 소속 경관에 의해 총격 살해된 양용씨의 아버지다.
이날 양 박사는 팟캐스트에 나와 아들의 목숨을 앗아간 LAPD와 LA카운티정신건강국의 정신질환자 대처 미흡, 시스템의 맹점을 지적했다.
양 박사는 “응급 전문의라고 하지만, 전혀 전문적이지 않았다”며 “그들이 그날 대처한 방식은 보편 도움을 요청한 환자 또는 환자의 가족보다 더 모른다”고 말했다.
엘리트를 도움을 요청한 정신건강국에서 파견한 한인 클리니션의 대응을 꼬집었다.
양 박사는 “클리니션이 와서 막상 아들을 본 건 1분도 안 되고, 심지어 내 뒤에서 서서 그저 물어본 거라고는 ‘때렸어요?’ ‘맞았어요?’라는 말뿐이었다”며 “그리고 911에 콜백해 신고했는데 나는 그게 경찰의 출동인줄도 몰랐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팟캐스트는 ‘배너러블(Venerable)’ 로펌의 시드니 손 변호사, 알렉스 차오 변호사가 진행하고 있다.
이날 진행을 맡은 손 변호사는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손 변호사는 “그러한 부분이 법집행기관이나 정신건강국 등 정부기관이 소수계 커뮤니티를 대할 때 발생하는 문제 중 하나”라며 “내부에도 그런 것이 정착하려면 단순히 ‘정부가 도와주겠지’라는 생각을 하지 말고 이들에 대한 절차를 거쳐 대응할 것인지 진단 토론된다”고 말했다.
이날 팟캐스트에서는 정신건강과 관련 신고 시 법 집행기관 등의 명확한 프로토콜 설정 ▶법집행기관에 소수계 교육을 이해하고 원활한 소통을 위한 교육 제공 ▶한인사회와 법 집행기관의 역할, 인식에 대한 교육 제공 등의 필요성도 제시됐다.
양 박사는 “테이저건도 분명 있는데 그들이 무력을 사용할 수 있다고 했을 때 그 무력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고 총을 써도 된다고 생각한 부모가 어디 있겠느냐”며 “아들을 보며 경찰의 의도라는 건 전혀 의심하지는 않는 듯한 말로 법적 해충도 아니었고 별다른 이유도 별다른 얘기 없는데도 아들을 겨냥하고 총까지 문을 열고 들어간 경찰의 방식이 전무전례적”이라고 반문했다.
다른 진행자와 차오 변호사는 타이완계 이민자다.
손 변호사는 “미국 사회에서 정신 질환을 겪는 가족의 힘이 아니면, 아시아계 커뮤니티에서는 이를 숨기고만 한다”며 “이는 절대 부끄러워할 일이 아니며, 도움을 구하는 것은 오히려 자랑스러운 일이라는 것을 알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장열 기자 jang.yeol@koreadaily.com